전체 글 1469

욥기 38장에서 42장 묵상

엘리후의 반박이 32장에서 37장까지 끝나고 드디어 38장에서 41장까지 하나님의 말씀이 시작된다. 그리고 42장에서 결론을 맺는다 38장에서 욥이 그렇게 하나님을 대면하기 기다렸는데 하나님이 폭풍우 가운데서 욥에게 말씀하시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무지한 말로 생각을 어둡게 하는 자가 누구냐 너는 대장부처럼 허리를 묶고 내가 네게 묻는 것을 대답할지니라" (38:2-3) 나만 그런지 이 하나님의 첫 마디가 왜 이렇게 웃긴지 모르겠다. ​ 폭풍우 가운데서 오신다는 것은 하나님의 존귀함과 엄위함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2절에서 무지한 말로 생각을 어둡게 하는 자가 누구냐!라는 책망하는 말로 시작한다. 실상을 가리고 있는 욥의 변론을 책망라시는 것이다. ​ 내 생각에 하나님이 욥에게 말씀하신다면 " 욥아 네가 ..

욥기 32장에서 37장 묵상

31장까지 욥과 세 친구의 논쟁이 끝이 나고 욥도 세 친구도 말을 그친다. 32장에서 드디어 새로운 인물이 등장한다. 그 사람의 이름은 엘리후이다. 엘리후 이름의 뜻은 "그는 나의 하나님 "이라는 뜻이다. 욥과 세 친구는 다른 민족 사람이지만 유일하게 엘리후는 히브리 사람이다. 엘리후는 문맥상 대화로 봐서 처음부터 그 자리에 있었고 네 사람의 논쟁을 경청한 것으로 보인다. ​ 그는 첫 마디가 화를 내며 시작한다. 그 이유는 욥이 "하나님 보다 자기가 의롭다"해서이다. 그런데 이 말은 틀린 말이다. 자신의 죄가 없음을 이야기했지 하나님 보다 의롭다고 말한 것은 아니다. 이 사람의 시작 자체가 살짝 왜곡되고 과장되게 말하고 있다. ​ 사람들은 사실이 아닌 이야기를 사실화해서 말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세 친..

욥기 22장에서 31장 묵상

21장에서 욥이 인과응보의 논리에 반박하며 어떤 사람은 악해도 죽을 때까지 건강하고 안전하고 평안하며 그릇에는 음식이 가득하고 윤택하다. 그러나 어떤 이는 마음의 고통을 품고 죽을 때도 행복을 맛보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 그런데도 너희는 "나를 헛되이 위로하는냐! 너희의 대답은 가짓이다"라고 말하자 22장에서 엘리바스가 세 번째 논쟁을 한다. "네가 네 말대로 의로운들 하나님께 무슨 기쁨이 있겠느냐 그리고 너의 행위가 온전한들 하나님께 무슨 유익이 되겠느냐"라고 말한다. ​ 신명기에서 나타난 하나님은 인과응보의 하나님이다. 왜냐하면 신명기에는 하나님의 율법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네가 율법을 지키지 않으면 너를 버린다 이런 식이다. 그러나 하나님은 율법을 통해 죄를 깨닫게 하고 하나님의 도..

욥기 12장에서 21장 묵상

12장에서 21장은 욥과 세 친구의 논쟁을 다루고 있다. 앞 장에서 소발이 "네 손에 죄악이 있거든 멀리 버리라 불의가 네 장막에 있지 못하게 하라 그리하면 네가 반드시 흠 없는 얼굴을 들게 되고 굳게 서서 두려움이 없으리니" 이처럼 욥이 죄를 지음으로 고난을 당하고 있음을 완전히 못 박아 버린다. 욥이 당한 고난은 인과응보임을 못 박는 것이다. ​ 이런 소발에게 욥은 12장에서 14장에 걸쳐 긴 반박을 한다. 소발에게 너만 참 백성이구나! 너만 지혜롭구나! 네가 죽으면 지혜가 죽겠구나! 말한다. 얼마나 어이없으면 욥이 이렇게 직설적으로 답할 수 있을까? 나도 너희 못지않다. 그렇게 간단한 일을 누가 모르겠느냐라고 말한다. 소발이 욥이 당한 고난이 인과응보라고 결론 내리자 그렇지 않음을 아래와 같이 이야..

욥기 3장에서 11장 묵상

욥기서 3장에서 31장까지는 욥과 세 친구의 논쟁이 기록되어 있다. 오늘은 3장에서 11장까지 묵상했다. 2장에서 그동안 욥의 아내가 욥을 저주하고 떠났다고 알려졌지만 그 안에 반전이 있었음을 알게 하셨다. 욥의 아내에 대해서 2장 9절에서 10절 외에는 다루지 않았기 때문에 스쳐 지나가듯 읽어서 욥의 아내에 대해서 깊이 생각해 보지 않은 것이 실수였다. 욥은 아내와 세 친구 엘리바스, 빌닷, 소발 덕분에 욥은 마음 깊이 있는 슬픔을 하나님께 기도하게 된다. ​ 드디어 3장에서는 욥의 탄원하는 기도가 시작된다. 욥은 자신의 고통이 얼마나 심하면 입을 열자 말자 자기의 생일을 저주한다. 3장 11절에 보면 "어찌하여 내가 태에서 죽어 나오지 아니하였던가 어찌하여 내 어머니가 해산할 때에 내가 숨지지 아니하..

욥기 1장에서 2장 묵상

욥기가 쓰인 배경은 본문에서 찾을 수 있는 단서가 많이 없다. 그래서 학자들의 견해가 다양해서 결론을 내리기가 어렵다. 그러나 1장 5절에서 잔치를 끝내면 욥이 자녀의 명수대로 번제를 드리는 것과 42장 16절에서 욥이 140년을 살았던 것 보아 족장 시대였음을 추측해 볼 수 있다. ​ 욥의 이름의 뜻은 "박해받는 자"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욥은 우스에 산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정확한 위치는 모르나 예레미야 애가 4장 21절에 "우스 땅에 사는 딸 " 하는 표현을 보아 에돔 근처에 남쪽 광야 지역에 위치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 욥기의 문학적 형태는 산문과 운문이 섞여 있는 형태이다. 1장에서 등장인물을 이야기하는 글의 형태로 쓰여 있다가 중간 부분에는 시처럼 표현되어 있기 때문이다. 욥기는 또한 신학적..

에스더 8장에서 10장까지 묵상

에스더서는 1차 포로 귀환과 2차 포로 귀환의 중간 시기에 있는 역사이다. 그래서 포로 귀환으로 예루살렘으로 돌아간 유다 민족과 남겨져 있는 유다인에 대한 삶의 형태를 비교하여 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고레스 왕이 죽고 캄비세스 2세가 왕이 되었을 때 이집트 전쟁 중에 칼을 빼다가 자신의 허벅지를 찔러 상처를 입어 파상풍으로 죽고 난 뒤 다리오 왕이 즉위했고 다리오 왕 때 2차 포로 귀환이 이루어지고 난 다음 이어진 왕이 아하 수에로 왕이다. ​ 아하 수에로 하면 가장 대표적인 역사적 사실이 그리스 전쟁 살라미스 해전에서 참패이다. 이 내용은 영화 "300"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이 전쟁으로 인해 왕은 타락하고 술과 향락으로 세월을 보냈다. 아하수에로 왕후 와스디가 폐위된 후 4년이 경과되자 ..

에스더 1장에서 8장까지 묵상

에스더서의 제목은 에스더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에스더의 히브리어 이름은 하닷사이며 뜻은 도금양 나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저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확실한 것은 저자가 페르시아 관습이나 당시 궁정의 사정이나 내부의 지리에 익숙하고 또한 페르시아 궁중기록을 입수할 수 있었던 사람으로 여겨진다. ​ 에스더의 배경이 되는 시기는 페르시아 다리오의 뒤를 이어 아하수에로왕의 치리 기간으로 보인다. 즉 주전 486년에서 465년 사이로 볼 수 있다. 아하수에로왕의 그리스어로는 크세르 크세스이다.(우리에겐 영화 300으로 알려진 왕이다) 아하수에로왕 시절의 페르시아의 영토는 동쪽으로는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이라크 소아시아 전체이며 서쪽으로는 현재 팔레스타인 전역과 아라비아반도 이집트와 리비아에 이르기까지 광..

느헤미야 8장에서 13장까지 묵상

1차 포로 귀환은 스룹바벨의 인도하에 49,897명이 이루어지고 성전 재건은 스룹바벨을 통해 이루어진다. 2차 포로 귀환은 1,754명이 에스라의 인도하에 귀환이 이뤄진다. 1,2차 포로 귀환은 에스라서에 기록되어 있다. 2차 포로 귀환 때 느헤미야가 에스라와 함께 협력하여 사역하고 느헤미야를 통해 성벽 재건이 이뤄진다. 3차 포로 귀환은 느헤미야의 인도하에 42,360명이 예루살렘으로 귀환하는 게 기록되어 있다. ​ 느헤미야가 성벽을 재건하고 나서 에스라를 통해 말씀을 회복하는 내용이 오늘 8장에서 13장까지 다룬다. 오늘 다룰 내용이 느헤미야의 핵심 내용이다. ​ 이 모든 과정을 성경을 역사 순으로 배열하면 먼저 에스라 1장에서 4장 그리고 학개서 다음 스가랴 다음 에스라 5장에서 6장 다음 에스더 ..

느헤미야 1장에서 7장까지 묵상

느헤미야서는 대략 주전 5에서 4세기 경에 쓰인 것으로 추측된다. 느헤미야서는 포로기 이후에 생존자와 후손들이 어떻게 신앙공동체를 이루고 살았는지를 잘 보여 주는 책이다. 에스라서와 느헤미야서는 본래 한 권의 책이었다고 보고 있다. 실제적으로 에스라서와 느헤미야서의 내용이 연결되어 있는 것도 사실이다. ​ 에스라가 종교지도자였다면 느헤미야는 평신도 지도자이다. 그들은 포로기 이후 예루살렘으로 귀환한 공동체 개혁을 실행한 파트너이다. 느헤미야는 페르시아의 아닥사스다왕 제20년인 주전 435년에 예루살렘 성벽이 무너졌다는 소식을 듣고 보수를 위해 예루살렘 총독으로 자원한 인물이다. 아닥사스다왕의 술 관원이라는 고위직을 내려놓고 고국의 어려움을 돕기 위해 자원했다. ​ 느헤미야는 페르시아에서 태어난 사람이다...